말차는 다 좋아? NO! 제니도 몰랐을 말차의 '치명적인 비밀' 대공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일본식 녹차인 '말차'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단순한 음료를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자리 잡은 '말차 코어(Matcha Core)' 트렌드는 지난해부터 온라인을 중심으로 Z세대를 필두로 빠르게 확산되며 말차 특유의 색상과 맛, 그리고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걸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말차 코어는 말차가 들어간 음료나 디저트를 즐기는 것을 넘어, 말차의 상징적인 초록색을 활용한 패션 소품이나 인테리어까지 아우르는 복합적인 문화 현상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말차 열풍의 배경에는 유명 연예인들의 영향이 지대하다. 할리우드 스타 젠데이야와 팝스타 두아리파, 그리고 K-POP을 대표하는 블랙핑크 제니 등 세계적인 셀럽들이 커피 대신 말차 음료를 즐기는 모습이 SNS를 통해 퍼지면서, 젊은 세대 사이에서 말차는 '힙'하고 '건강한' 음료의 대명사로 떠올랐다. 이들의 영향력은 곧바로 소비로 이어져, 일본 현지에서는 외국인 관광객까지 말차를 찾아 나서면서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심지어 일본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서는 말차 음료의 주문 개수를 제한하는 카페가 등장할 정도로 그 수요가 폭발적이다. 지난달 미국 유력 매체 워싱턴포스트는 급증하는 말차 수요에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는 현상을 보도하며 전 세계적인 말차 품귀 현상을 조명하기도 했다.

 

말차의 폭발적인 인기에는 독특하고 매력적인 맛뿐만 아니라, 뛰어난 건강 효능 또한 한몫하고 있다. 말차의 건강 효과를 자세히 들여다보기 전에, 흔히 혼동하기 쉬운 녹차와 말차의 차이점부터 명확히 짚어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녹차는 햇빛을 충분히 받고 자란 찻잎을 그대로 수확하여 찌거나 볶은 뒤 말린 것으로, 주로 잎을 물에 우려 마신다. 이때 우러나는 색상은 맑은 연두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 말차는 재배 방식부터 다르다. 찻잎을 수확하기 약 20일 전부터 햇빛을 차단하는 '차광 재배'를 거친다. 이는 찻잎의 엽록소 생성을 촉진하고 쓴맛을 줄이며 감칠맛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수확된 찻잎은 증기로 쪄서 산화를 막고, 건조시킨 후 찻잎의 줄기와 잎맥을 제거한 '텐차' 상태로 만든다. 이 텐차를 곱게 갈아 분말 형태로 만든 것이 바로 말차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말차 가루는 진한 초록빛을 띠며, 풍부한 깊은 맛과 독특한 풀향이 강하게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잎을 우려 마시는 녹차와 달리, 말차는 찻잎 전체를 섭취하기 때문에 찻잎이 가진 영양 성분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말차는 강력한 항산화 성분인 카테킨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카테킨은 항산화 작용을 통해 체내 유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균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며, 해독작용 등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EGCG는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세포를 손상시키고 염증과 노화를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말차에는 L-테아닌이라는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L-테아닌은 뇌파 중 알파파 생성을 촉진하여 스트레스 완화와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일본 시즈오카대 연구진에 따르면, 말차를 마신 참가자들의 스트레스 수준이 말차를 마시지 않은 참가자들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는 말차가 단순히 몸에 좋은 것을 넘어 정신적인 안정감까지 선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말차는 인지 기능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본 국립암센터 등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 저널(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루 2~3잔씩 꾸준히 말차를 마신 사람들은 치매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년간 44~66세 남녀 1155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말차를 꾸준히 섭취한 그룹이 인지 저하 위험이 44% 낮은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말차가 노년층의 뇌 건강 유지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다양한 효능을 가진 말차지만, 섭취 시 주의해야 할 점도 분명히 존재한다.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이라면 말차 섭취량을 하루 1~2잔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 말차 한 티스푼(약 1g)에는 에스프레소 1샷과 비슷한 약 70mg의 카페인이 들어있다. 이는 일반적인 녹차(30~50mg)의 약 2배 수준이다. 특히 잎을 우려낸 물을 마시는 녹차와 달리 말차는 찻잎 전체를 갈아 마시기 때문에 카페인 흡수율이 더 높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과도한 카페인 섭취는 불면증, 불안감, 심장 두근거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철분제와 함께 섭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차 속에 함유된 탄닌 성분은 철분 흡수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빈혈로 인해 철분제를 복용 중인 경우나, 철분이 풍부한 육류나 해조류 등을 섭취한 직후에는 말차를 마시는 것을 가급적 피하는 것이 현명하다. 철분 흡수를 방해받지 않도록 식사 전후 적절한 시간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혈전증 치료제인 와파린을 복용하고 있다면 말차를 비롯한 녹차 섭취를 멀리하는 것이 좋다. 차 속에 풍부한 비타민 K는 와파린의 항응고 작용과 길항작용을 하여 약효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혈전증 환자에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 후 섭취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말차는 독특한 풍미와 더불어 다양한 건강 효능을 지닌 매력적인 음료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효능만큼이나 주의해야 할 점들도 존재하므로, 자신의 건강 상태와 생활 습관을 고려하여 현명하게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 세계를 사로잡은 초록빛 유혹, 말차를 더욱 건강하고 안전하게 즐기기 위한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