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결정 따르라' 엄포 뒤 'TF 가동'…이찬진의 '당근과 채찍' 전략, 과연 통할까?

이찬진 원장은 16일 오전에 열린 임원회의라는 공식적인 자리에서 "금융감독원은 공적 기관으로서 정부의 결정을 충실히 집행할 책무가 있다"고 못 박았다. 이는 조직개편에 반대하며 연일 시위를 벌이고 있는 내부 직원들을 향한 명확한 메시지이자, 더 이상의 논란을 차단하겠다는 강력한 선언으로 풀이된다.
그는 이번 조직개편안이 즉흥적으로 결정된 사안이 아님을 거듭 강조했다. 이 원장은 "감독체계 개편은 새 정부가 출범한 직후부터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수개월에 걸쳐 심도 있게 논의되었고, 이후 당·정·대 협의라는 공식적인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확정 및 발표된 사안"이라고 상세히 설명했다. 이는 정부 정책 결정의 정당성과 절차적 타당성을 부각함으로써, 내부의 반발이 더 이상 명분을 얻기 어렵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압박한 것이다.

다만 이 원장은 강경한 원칙을 천명하면서도, 내부의 목소리를 완전히 외면하지는 않겠다는 제스처도 보였다. 그는 이세훈 수석부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입법 지원 태스크포스(TF)'를 즉시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 TF는 향후 국회에서 진행될 관련 법률 개정 과정에서 금감원의 의견을 정리해 전달하는 창구 역할을 맡게 될 예정이다. 이는 조직개편이라는 큰 틀은 수용하되, 세부적인 법안 마련 과정에서는 조직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일종의 '출구 전략'이자 '유화책'으로 해석된다. 이 원장은 회의 말미에 임원들에게 흔들림 없이 담당 업무를 챙길 것을 각별히 당부하며 조직 다잡기에 나섰다.
하지만 원장의 이러한 입장 표명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의 반발은 더욱 거세지는 모양새다. 금감원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아침에도 차가운 공기 속에서 엿새째 출근길 피켓 시위를 이어가며 조직개편 반대 목소리를 높였다.
나아가 비대위는 투쟁의 무대를 금감원 내부에서 국회 앞으로 옮겨 전선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들은 오는 18일, 국회 앞에서 점심시간을 이용해 직원들이 대거 참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겠다고 예고했다. 이는 입법권을 쥔 국회를 직접 압박하여 정부의 조직개편안을 저지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명이다. 이찬진 원장의 '수용 선언'과 직원들의 '실력 행사 예고'가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금융감독원을 둘러싼 갈등은 이제 최고조에 이르고 있다.
[ allidio.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