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스터 40대? MZ세대가 보기에 '영포티'는 그저 '꼰대'일 뿐!

 한때 '젊은 감각과 도전을 즐기는 40대'를 지칭하며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던 '영포티(Young Forty)'라는 신조어가 최근 온라인을 중심으로 조롱과 비하의 대상으로 변질되고 있어 사회적 논란이 일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 결과, 영포티 관련 온라인 언급의 절반 이상이 '늙다', '역겹다' 등 부정적인 키워드와 연관되어 나타나며, 이 현상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올해 마흔이 된 직장인 A씨는 "무슨 일을 하든 '영포티'라고 놀림을 받으니 자기검열을 하게 된다"며 씁쓸함을 감추지 못했다. 과거 '영포티'는 기존의 40대와는 다르게 트렌드에 민감하고, 자기계발과 취미 활동에 적극적이며, 젊은 세대와의 소통에도 열린 모습을 보이는 중년층을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단어였다. 그러나 이제는 '젊은 척하는 중년', '나잇값 못하는 사람'이라는 비아냥 섞인 의미로 확산하며 본래의 긍정적인 의미가 퇴색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에서는 특정 패션 아이템이나 생활 방식을 '영포티 전형'으로 꼬집으며 비하하는 이미지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의 의류, 과도하게 젊어 보이려는 헤어스타일, 유행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모습 등이 조롱의 대상이 되곤 한다. 이는 특정 세대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강화하고, 온라인 공간에서의 혐오 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을 복합적인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분석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외환위기(IMF) 시절을 겪으며 젊은 시절 문화적 욕구를 충분히 해소하지 못했던 현재의 40대가 뒤늦게 자신을 표현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해석한다. 이들은 경제적 여유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소비 활동을 하며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을 구축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젊은 세대가 이러한 '영포티'를 또 다른 형태의 기득권으로 인식하며 반감을 표출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막강한 소비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자신들의 문화를 '힙'하게 소비하는 40대의 모습이, 취업난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한 젊은 세대에게는 상대적 박탈감이나 위화감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이다. 기성세대가 젊은 문화를 소비하는 방식에 대한 거부감, 그리고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가 충돌하며 '영포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는 촉매제가 되고 있다는 해석이다.

 

'영포티'를 둘러싼 논란은 단순히 특정 세대에 대한 비난을 넘어, 세대 간의 이해 부족과 사회적 갈등의 단면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고 있다. 건강하고 긍정적인 세대 간 소통과 이해를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