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대 6만원, 대관료 350만원…'웨딩플레이션'에 지갑 털리는 예비부부!

 결혼 서비스 비용이 무섭게 치솟고 있다. 특히 1인당 식대 중간 가격이 6만원을 넘어섰고, 전체 결혼 평균 비용은 두 달 만에 4%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지난달 18일부터 29일까지 전국 14개 지역 결혼 서비스 업체 504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달 결혼 서비스 평균 비용은 216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6월 대비 4.1% 늘어난 수치다.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들에게는 비용 부담이 더욱 커지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결과다.

 

지역별 편차도 극심했다. 강남 지역의 결혼 비용은 평균 3509만원으로, 경상도 지역(1181만원)의 세 배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수도권 전체로 보면 결혼 비용은 2665만원으로 비수도권(1511만원)보다 무려 1154만원이나 더 비쌌다. 지난 6월과 비교했을 때 수도권은 4.3% 증가했지만, 비수도권은 오히려 1.9% 감소해 지역 간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수도권, 특히 강남 지역의 높은 물가와 수요가 결혼 비용 상승을 견인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결혼식장 1인당 식대 중간 가격은 지난달 6만원으로, 지난 6월 5만8000원보다 2000원(3.4%) 올랐다. 특히 강남 지역은 8만3000원에서 8만8000원으로 5000원(6.0%) 상승해 전국에서 가장 비쌌으며 상승률도 가장 높았다. 전국 대관료 중간 가격 역시 6월 300만원에서 지난달 350만원으로 50만원(16.7%)이나 뛰었다. 강남 지역 대관료는 690만원에서 750만원으로 60만원(8.7%) 올랐고, 경상 지역도 130만원에서 270만원으로 두 배 이상 급등했다. 결혼식장 측은 식재료와 장식·꽃 등 주요 자재의 구매 단가 상승과 인건비 인상을 비용 상승의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특히 '생화 꽃장식' 비용은 지난 6월 200만원에서 지난달 262만원으로 31.0%(62만원)나 치솟아 예비부부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전반적인 물가 상승과 더불어 결혼 관련 서비스의 인건비 및 자재비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결혼 비용이 전례 없이 오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결혼을 계획하는 많은 커플들에게 경제적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결혼 자체를 망설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