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에서도 '어려움' 겪는 장애인의 실태


오는 10일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진행되는 가운데, 정보가 부족한 장애인들이 '묻지마 투표'에 내몰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홀로 사는 시각장애인 조 씨(50대)는 거소투표를 신청하여 등기로 점자 투표용지를 받았다. 그런데 투표 용지에 점자로 적힌 것은 오직 숫자뿐이다. 후보자의 이름도, 정당은 점자로 표기되지 않았다. 결국 정보 부족으로 주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되므로 비밀투표도 보장받지 못했다.

 

시각장애인을 위해 제공되는 투표용지는 일반 투표 용지를 점자 표시가 된 용지에 끼워 넣고 구멍이 뚫린 부분에 표시하는 식으로 진행되는데, 조 씨는 용지가 잘 끼워졌는지 확인할 수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 비례 대표 투표 용지도 마찬가지였다. 종이의 크기가 작아 모든 글자가 점자로 표시되지 않았고, 줄임말로 표기된 당 이름에 한참 동안 고민하다가 활동지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지지하는 후보를 말할 수밖에 없었다.

 

청각장애인(농인) 김 씨(34)는 지금까지 모든 투표에 참여했으나 투표에 매번 어려움을 겪었다고 밝혔다. 대학 교육을 이수함에도 수어 통역이 없으면 정보 습득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김 씨는 "수어와 한국어의 문법은 조금 다르기 때문에 한국어를 완벽하게 하는 농인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주변의 농인 중 절반은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다. 수어로 정보가 제공되지도 않아 정치에 관심을 갖고 싶어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선거 공보물에 QR코드를 넣어 수어 통역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번 총선에 수어통역 영상을 제공한 후보는 없었다. 농인 입장에서는 총선 후보자들이 진행하는 TV 토론을 이해하는 것에도 어려움을 겪는다. 최보윤 서울농인협회 대리는 "수어 통역사는 화면에 1명만 등장하는 데 비해서 후보자는 3명이나 된다. 이들이 말을 섞으며 토론하는 과정은 수어를 보어도 누가 어떤 말을 하는지 구분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